출간일
1997.12.31
출판사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저자
김봉렬 외(공저)

목차

요약문

제1장 연구의 개요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내용과 대상
1.3 연구방법과 과정
제2장 3개의 연구방법론
2.1 왜 3개의 방법론인가?
2.2.1 조사와 분석
2.2.2 조사방법
2.2.3 해석
2.3 건축그림에 의한 해석방법
2.3.1 건축도법과 건축그림
2.3.2 건축해석방법으로서 건축그림
2.4 유형학적 접근 방법
2.4.1 조선후기 민가건축의 변화
2.4.2 주거공동체와 분석의 단위
2.4.3 주거 평면형이 갖는 유형적 성격
제3장 선교장의 인문학적 조사연구
3.1 아주 특이한 집 – 선교장 개요
3.2 배경적 지식의 이해
3.2.1 강릉과 선교장의 지리적 배경
3.2.2 강릉지역의 사상적 맥락
3.2.3 선교장 주인들의 생각
3.2.4 선교장의 가계와 건설사
3.2.5 건설의 재력기반 – 농업경영
3.2.6 장원으로서의 선교장
3.2.7 현존건물들의 기능
3.3 건축적 과정의 추적
3.3.1 촌락형성의 지리적 성격
3.3.2 입지와 지형
3.3.3 변화과정 추적
3.3.4 공간구성의 개념과 실현
3.3.5 개방적 실리적 요소의 선택
3.3.6 연관건축과의 비교
3.4 해석
3.4.1 건축적 목표와 실현과정
3.4.2 두 집의 집합체
3.4.3 설계요소 – 집합의 데이텀들
3.4.4 집합의 차원과 요소
3.5 결론
3.5.1 계획개념과 설계요소
3.5.2 방법론의 평가
제4장 건축그림에 의한 내앞종가의 해석
4.1 내앞종가의 건축
4.1.1 건축개요
4.1.2 내앞마을과 의성김씨 청계공파
4.2 열 장의 건축그림
4.3 건축그림으로 읽어낸 설계개념 – 관계
4.4 건축그림에 의한 해석방법이 갖는 의미
제5장 강골마을 주거의 유형학적 조사연구
5.1 강골마을 개요
5.1.1 위치 및 지형
5.1.2 주민구성과 형성과정
5.1.3 마을내의 건축 현황
5.2 마을내 주거 평면형의 분석
5.2.1 안채 평면형의 조사 및 분석
5.2.2 채구성 방식의 조사 및 분석
5.3 대표적 유형과 확대형에 대한 해석
5.3.1 대표적 유형의 추출
5.3.2 확대형에 대한 해석
5.3.3 확대경로에 대한 검토
5.4 마을의 성장과정과 그 영향
5.4.1 마을의 성장과정 추적
5.4.2 도시적 성장과 군집에 의한 영향
5.4.2 근대적 변형
5.5 U 자형 평면의 해석
5.5.1 ㄷ자형 평면형과의 비교
5.5.2 U 자형 안채의 형성과정
5.5.3 U자형 안채의 의미
5.6 유형론적 방법론의 새로운 가능성
5.6.1 연구대상과 시기에 있어서
5.6.2 민가형 변환의 해석을 위하여
제6장 결론
6.1 사례들의 계획개념과 설계요소
6.1.1 선교장의 집합적 영역과 데이텀들
6.1.2 내앞종가의 관계성
6.1.3 강골마을 주거의 유형성
6.2 연구방법론의 비교 평사
6.3 연구의 효용성
6.4 추후 연구방향
부록 – 자료도면
강릉 선교장
안동 내앞종가
보성 강골마을의 주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