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간일
2006.03.31
출판사
돌베개
저자
김봉렬

목차

개정판 서문 – 참회와 사랑의 고백
초판 서문 – 역사 속 건축의 이론과 실천

1 집합이 건축이다 – 병산서원

무엇이 건축인가 | 집합적 건축으로서의 병산서원 | 병산서원 이야기
자연과 건축의 집합 | 영역군의 구성 | 건물군의 구성 | 건물의 구성
집합의 역사 | 주변의 건축, 건축적 원형

2 한국건축의 창조 과정 – 부석사

터잡기에서 디테일까지 | 창건과 중창에 얽힌 이야기들
체體, 정토신앙과 의상의 건축관 | 용用, 굴절된 구성 축과 지형 | 상相, 연속된 흐름을 위한 변주들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어 서서 | 죽령 방어선의 건축들

3 성리학의 건축적 담론 – 도동서원

유교적 건축이론의 전제 | 사림파와 향촌, 서원건축과 도동서원
도동서원의 성리학적 건축 담론 | 도동서원 낙수

4 불교적 건축이론 – 통도사

이론적 건축가는 누구인가? | 불교적 건축관
통도사 창건과 자장의 조영관 | 건축 구성의 신비 | 건물군의 집합적 이론과 구성
통합을 위한 장치들 | 특징적인 건물들

5 최소의 구조, 최대의 건축 – 도산서당과 도산서원

건축가로서의 퇴계 이황 | 도산서당, 최소의 구조와 최대의 공간
원형과 증축의 질서, 도산서원 | 서원의 건물들 | 퇴계와 관련된 건축들

6 목구조 형식의 시대사 – 봉정사

동아시아 건축의 목구조 | 봉정사의 역사와 환경 | 구조 형식으로 본 건물들
또 하나의 봉정사, 영선암 | 주변의 건축

7 순환동선과 두 면의 유형학 – 안동의 재사들

건축의 유형과 유형학 | 재사건축 유형의 발생 | 영양 남씨들의 재실, 남흥재사
학봉 김성일을 위한 재실, 서지재사 | 진성 이씨의 휴양단지, 가창재사
입체적 공간을 위한 유형학적 요소 | 주목할 만한 재사건축들

부록

건축읽기에 도움이 되는 용어해설 | 도면 목록 | 찾아보기

발문 – 드디어 완간되는 한국건축 연구의 집대성 최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