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의 인간은 개인이 아니었습니다. 어느 누구도 ‘김해 김씨 측은공파, 누구의 몇 째 아들’이라는 호칭과 같이, 가문과 본관에 속한 구성원이었습니다. 그리고 누구나 고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서울에서 활동하는 고위관료도 퇴직하면 바로 지방의 고향에 돌아가 일가 친족과 함께 여생을 보냅니다. 고향에서 공부도 하고, 제자도 가르치고, 저술을 남겨 후대에 전하는 것이 사대부들의 이상이었습니다.
가문의 고향, 이를 씨족마을이라고 부릅니다. 전국에 있는 수 천 개의 씨족마을 가운데 대표적인 곳이 경상북도 안동의 하회마을과 경주의 양동마을입니다. 이 두 마을은 2010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더욱 유명해졌습니다.
유명 씨족마을은 우선 유명한 조상을 모시고 있습니다. 하회의 주민들은 임진왜란 때 온몸을 던져 나라를 구한 전시재상 류성룡의 자손들입니다. 그가 없었다면 과연 임진왜란을 극복할 수 있었는지 의심스럽습니다. 양동마을은 두 명의 뛰어난 성리학자를 조상으로 두었습니다. 조선 초에 성리학의 기틀을 잡은 손중돈과 이언적의 자손들이 이 마을에 삽니다. 하회가 하회 류씨들의 단일 씨족이라면, 양동은 월성 손씨와 여주 이씨의 이성 씨족마을이라는 차이가 있습니다.
씨족마을의 가장 안쪽에는 종가가 있습니다. 제일 먼저 자리를 잡았기 때문에 가장 좋은 명당을 차지합니다. 자손이 늘어 분가한 아들의 집은 종가 앞으로 자리 잡고, 또 그 아들집은 그 앞에…. 이런 식으로 자리 잡다보면, 자연스럽게 구불구불한 마을길이 만들어집니다. 하회나 양동의 아름다운 마을길과 골목길은 이처럼 4~500년에 걸쳐 만들어진 세월의 흔적입니다.
그런데, 오래되고 유력한 가문일수록 종가가 늘어납니다. 후손 가운데 뛰어난 위인이 나타나면 파종가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하회에는 양진당과 충효당, 북촌댁과 남촌댁이라는 4개의 종가가 있습니다. 각기 마을 길을 사이에 두고 종가와 후손들의 집들이 들어섰습니다. 이성 씨족인 양동에는 손씨 대종가와 이씨 대종가가 각각의 골짜기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 후손들의 파종가도 여럿인데, 이들은 서로 영역이 겹치지 않도록 작은 골짜기나 봉우리를 차지합니다. 두 마을의 모습을 큰 눈으로 살펴보면, 마치 건축으로 쓴 족보와 같이 가문의 역사와 계보를 읽을 수 있습니다.
두 마을의 입지는 대조적입니다. 하회는 낙동강이 휘돌아 흐르는 강변 평지에 마을을 조성했지만, 양동은 형산 평야가 내려다 보이는 언덕과 골짜기에 자리 잡았습니다. 따라서 하회는 마을의 모습이 평면적이지만, 양동은 입체적입니다. 하회마을에 질서를 부여한 것은 길이 되고, 양동은 골짜기의 지형이 됩니다. 두 마을의 항공사진을 보면 대단히 무질서하게 집들의 방향이 일정하지 않습니다. 일정한 규칙을 찾을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더 큰 스케일에서 보면 달라집니다. 하회의 집들은 마을을 둘러싸고 있는 산 봉우리들 가운데, 자기 집이 바라볼 봉우리를 정하고 그 봉우리를 향해 집을 앉혔습니다. 각기 다른 봉우리를 향하기 때문에 마치 무질서한 것 같이 보이지만, 오히려 커다란 질서가 숨어있는 것이지요. 양동의 집들 역시, 서로 다른 봉우리를 보기도 하지만, 어떤 경우는 자신이 속한 가문의 종가를 바라보고 집을 앉히기도 합니다. 이리 되면 서로가 서로의 풍경이 됩니다. 자연과 인공이 모두 풍경 요소가 되는 것이지요. 이런 면에서 두 마을은 닮기도 하고 다르기도 합니다.
두 마을이 유명한 것은 마을 주변의 풍광이나 유명 조상 때문만은 아닙니다. 이런 조건을 가진 씨족마을들을 찾자면 전국에 적어도 백 여 개는 될 겁니다. 이 두 마을은 한국을 대표하는 살림집들, 뛰어난 한옥들을 수 십 채 씩 가지고 있습니다. 또, 여러 개발의 여파에도 불구하고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각 집들에는 조선 사대부의 품격과 정신이 듬뿍 담겨져 있습니다. 다 같은 기와집으로 보이지만, 밝은 눈으로 본다면 같은 집이 하나도 없을 정도로 서로 다릅니다.
예를 들어 양동의 관가정과 향단을 보겠습니다. 관가정은 손씨네 종가이고, 향단은 이씨네 종가입니다. 두 집은 작은 골짜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데, 관가정은 마치 사군자화와 같이 절제되어 있고 소박합니다. 반면, 향단은 화려하고 개성적입니다. 이 두 집은 예의 손중돈과 이언적이 직접 지은 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두 위인의 다른 정신세계가 두 집의 건축적 차이로 나타난 사례입니다. 하회마을의 북촌댁과 남촌댁을 비교해도 재미있습니다. 북촌댁은 웅장하고 호쾌하다면, 남촌댁은 수려하고 젊잖습니다. 아마도 집 주인의 성격 차이이겠지요. 이처럼 집은 주인의 인격과 정신을 대변합니다.
아무리 같은 가문이라도 같은 사람은 없습니다. 따라서 두 마을의 집들은 각기 개성이 뚜렷하게 차이가 납니다. 그러면서도 전체 마을은 아름다운 조화를 이룹니다. 다르지만 서로 조화를 이룬다는 ‘화이부동’의 정신이 우리의 씨족마을 이루는 미학적 근거가 됩니다.
마을에서 떨어져 있지만 꼭 들러야할 곳이 두 마을이 가지고 있는 서원입니다. 하회의 병산서원과 양동의 옥산서원입니다. 서원은 성리학을 공부하고 인격을 수련하는 학원입니다. 병산서원은 낙동강변, 절벽과 같은 병산을 마주보고 자리 잡았습니다. 서원 대청에 앉아서 앞을 바라보면, 앞 산과 강물의 절경이 한 눈에 들어옵니다. 옥산서원은 기암과 시내가 환상적인 풍경을 이루는 계곡에 자리 잡았습니다. 서원 안은 엄격한 학문의 세계이지만, 일단 문 밖으로 나오면 심신을 쉴 수 있는 천혜의 입지입니다. 이런 곳에서 학문을 연마하고 깨달음을 얻어 세상에 나와 그 깨달음을 실천합니다. 서원은 마을의 정신적 지주이자 존경의 대상입니다.
하회와 양동의 한옥들이 잘 만들어진 음식이라면, 두 마을은 잘 차려진 밥상입니다. 훌륭한 상차림에는 조리사의 철학이 담겨있고, 그 음식을 먹으면 심신이 건강해집니다. 반면 현대의 아파트는 수많은 음식들이 펼쳐진 뷔페식당과 같습니다. 마을은 단순히 주택들의 집합체가 아니라, 계통과 서열이라는 질서를 가진 작은 소우주입니다. 그래서 돌아가고 싶은 고향이 됩니다. 옆집이나 윗집과 아무런 관계가 없는 아파트 단지는 아무리 화려하고 규모가 크다 하더라도 고향이 될 수 없습니다. 돌아가고 싶은 고향은 어딜까요? 정갈한 마을의 밥상인가요, 아니면 풍족한 아파트의 뷔페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