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필일
2020.11.02.
출처
서울신문
분류
건축문화유산
원문 링크

[김봉렬과 함께하는 건축 시간여행] <24> 구례 화엄사

석가모니의 깨달음으로 불교가 시작했다. 스스로 해탈하려는 소승에 더해 중생을 구제하려는 대승불교로 확대되었다. 대승의 모든 신앙을 통합한 것이 화엄종이며, 그 방대한 가르침을 기록한 경전이 화엄경이다. 지리산 화엄사는 이름 그대로 화엄사상을 건축으로 구현한 가람이다. 그러나 그 역사는 거대한 화엄경의 내용만큼 복잡하고 중층적이다.

전남 구례 화엄사를 운고각 쪽으로 올라 바라보면 멀리 있는 각황전과 가까이 있는 대웅전이 거의 같은 크기로 보여 동등한 두 개의 중심을 이룬다. 그 사이 원통전을 세워 서로 다른 높낮이로 인해 전체적으로 묘한 운율을 형성한다. 구례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 전남 구례 화엄사를 운고각 쪽으로 올라 바라보면 멀리 있는 각황전과 가까이 있는 대웅전이 거의 같은 크기로 보여 동등한 두 개의 중심을 이룬다. 그 사이 원통전을 세워 서로 다른 높낮이로 인해 전체적으로 묘한 운율을 형성한다.
구례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화엄종, 화엄경, 창건 화엄사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가 처음으로 화엄사상을 들여왔으나 그는 계율학을 신라 불교의 근간으로 삼아 전제 왕권 강화에 이바지했다. 다음 세대인 의상대사는 당나라에 유학해 2대 화엄종주 지엄의 수제자가 됐고, 삼국 통일 직후 귀국해 신라 화엄종을 세웠다. 계율학이 분단시대의 부국강병 수단이었다면 화엄종은 통일시대 통합의 국교였다.

의상의 후예들은 각지에 화엄도량을 열었고, 그중 중요한 사찰들을 묶어 화엄십찰이라 불렀다. 화엄사는 마땅히 그중에서도 핵심이었다. 544년 서역의 승려 연기조사가 창건했다는 설은 전설일 뿐이다. 최근 발굴된 기록에 근거해, 연기조사는 국찰 황룡사에서 화엄경 사경을 주도한 이로 8세기 후반에 화엄사를 실질적으로 창건했다는 설이 합리적이다.

8세기 창건시기 가람 배치를 추정할 수 있는 구도. 앞쪽 승방에 대문이 있었고, 뒤편 석탑 위치에 금당이, 각황전 자리에 장육전이 있었다. 동서축을 따라 대문, 석탑, 금당, 석등, 장육전이 놓이는 1탑1금당 형식의 고대 가람이었을 것이다. 구례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 8세기 창건시기 가람 배치를 추정할 수 있는 구도. 앞쪽 승방에 대문이 있었고, 뒤편 석탑 위치에 금당이, 각황전 자리에 장육전이 있었다. 동서축을 따라 대문, 석탑, 금당, 석등, 장육전이 놓이는 1탑1금당 형식의 고대 가람이었을 것이다.
구례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현재 화엄사의 모습은 임진왜란 후 재건된 결과이며, 8세기 창건 당시의 모습은 사뭇 달랐다. 이 시기의 유적은 각황전의 기단과 초석, 그 앞의 큰 석등, 그리고 동5층석탑이다. 창건 가람은 동향으로 앉았고, 각황전 자리에 장육전이라는 건물이 있었다. 장육전과 동5층석탑 사이, 서5층석탑 자리에 금당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동서축을 따라 (동)석탑, 금당, 석등, 장육전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1탑 1금당 형식의 가람이었다.

화엄석경은 원래 600여매 돌판에 55만자를 새긴 대규모 경판이었지만, 임진왜란 때 파괴돼 1만 9000여개 조각으로 남아 있다.  구례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 화엄석경은 원래 600여매 돌판에 55만자를 새긴 대규모 경판이었지만, 임진왜란 때 파괴돼 1만 9000여개 조각으로 남아 있다.
구례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현 각황전은 2층이지만 장육전은 3층이었다. 내부에는 화엄경을 정교하게 새겨 넣은 거대한 석경벽을 세웠다. 화엄석경은 임진왜란 때 불타 파괴돼 1만 9000여 파편으로 남아 있다. 추정하면 600여매의 돌판에 총55만여자를 새긴 대규모 경판이었다. 내부 고주가 서 있는 5칸×3칸 기둥 사이 사방으로 석경벽을 두르고, 이를 순회하며 화엄경 전편을 읽을 수 있는 구조였다. 장육전은 곧 건축으로 쓴 화엄경이었고, 화엄사가 화엄종의 종찰이 되는 종교적 근거였다.

장육전 창건과 동시에 특이한 모습의 석탑과 석등을 뒤편 언덕에 조성했다. 탑은 사자 4마리와 가운데 승려 1명이 탑을 받치고 있는 모습의 4사자3층탑이다. 석등 역시 승려 1명이 꿇어앉아 석등을 받치고 있다. 4사자석탑의 인물은 스승이며, 석등의 승려는 제자인 연기조사로 사제 간의 전법을 묘사한 것 같다. 사자탑의 전통은 꾸준해서 고려시대의 사자빈신사지탑이나 홍천 괘석리탑이, 그리고 화엄사 원통전 앞에도 일부가 남아 있다. 화엄사의 사자탑은 그 효시일 뿐 아니라 가장 완벽한 유산이다.

●거듭된 중창과 가람의 대변화

화엄종은 신라 불교의 대세가 됐다. 종교의 거대화는 분열을 수반한다. 후삼국시대, 신라는 쇄락하고 왕건의 후고구려와 견훤의 후백제가 자웅을 겨루던 때다. 거대 화엄종은 왕건 편에 선 희랑과 견훤 편 관혜의 무리로 분화됐다. 북악파인 희랑은 해인사와 부석사에, 남악파인 관혜는 화엄사에 근거지를 두었다. 결과는 왕건과 희랑의 승리,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했다. 화엄사의 종단 내 위상이 크게 추락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태조 왕건의 마지막 해, 943년에 고려 왕실은 화엄사를 크게 중창했다. 패자 남악파에 대한 승자의 마지막 배려였을까?